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을 측정할 수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의 구인에 대한 20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는 예비검사(36명), 본 검사 4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검사의 표집은 인구비례를 고려한 유의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기술통계와 추리통계가 모두 사용하였고, 자료분석도구는 excel, SPSS21 그리고 AMOS21이었다. 이 연구의 구인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유의 수준은 알파계수 0.05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은 3개의 구인과 9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3개의 구인에 대하여 확산적 문제해결사고, 수렴적 문제해결사고 그리고 시각적 문제해결사고라 명명하였다. 확산적 문제해결사고의 하위요인은 유창성, 민감성, 인식의 접근성, 독창성의 4개로 이루어졌고, 수렴적 문제해결 사고는 논리적 일관성, 목표와 사고의 일치성, 문제해결 개선 노력성의 3개로 이루어졌으며, 시각적 문제해결사고는 표현성, 조직과 구성성의 2개로 이루어졌다. 둘째, 이 연구에서 활용된 본 검사 도구는 난이도(.331), 변별도(.474)가 적절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로 제시되었는데, 확산적 문제해결 사고(.834), 수렴적 문제해결 사고(.885), 시각적 문제해결사고(.862) 그리고 전체(.881)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술적 문제해결 사고력 검사 점수는 확산적 문제해결사고 평균(14.972), 수렴적 문제해결사고 평균(8.174), 시각적 문제해결사고 평균(2.960), 전체 평균(26.106)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의 왜도(.234), 첨도(-.134) 모두 정규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