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라오스 교사를 대상으로 한 ICT 활용교육 능력 개발 연수 운영 사례이다. 연구의 목적은 과제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콘텐츠 스캐폴드(scaffold) 적용효과를 분석하고 라오스와 같이 ICT 활용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인프라가 매우 빈약한 개발도상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조사 및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라오스 교사들의 ICT 활용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연수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ICT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연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예시 자료’와 ‘아이디어 구안서(Think Map)’, ‘수업설계 지원 템플릿’으로 구성된 스캐폴드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수과정 운영 후 연수에 대한 일반적 만족도와 스캐폴드 지원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조사와 집단 면담 결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수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도는 직무적용성 70.5%, 흥미와 참여도 94.1%, 연수시간 배분 5.9%, 강사도움 94.1%로 각각 나타났다. 연수시간 배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은 연수 참여자들이 ICT에 대한 소양 능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적인 능력 습득의 시간적 배려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과제 수행에 대한 인지적 부하에 대한 긍정적 인식 결과로는 과제수행의 어려움 해소 도움 41.1%, 과제 내용과 수행 절차 이해 도움 82.4%, 성공에 대한 확신지원 58.8%, 자료탐색 및 가공의 용이성 지원 70.6%, 과제수행 중 스트레스 감소 지원 64.7%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라오스교사와 같이 ICT 활용 기초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연수에서 콘텐츠 스캐폴드 적용은 연수자의 참여도를 향상시키고 ICT 활용교육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성공적 확신 마인드를 형성하고 과제수행의 효율적 지원을 통해 인지적 부하를 감소시켜 과제 수행 결과물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about an ICT training program to develop ICT usage skills in Laos’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st ways to improve training outcome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eachers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lower levels of ICT through the application of scaffold.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obstacles that Laos’ teachers met when using ICT and determined correlation among them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on site survey, and interview with Laos’ teachers. Also, as a strategy to improve training outcomes, we designed training curricula through such analysis, developed ‘diverse example materials’, a ‘think map for instruction to using ICT, an ‘instruction design template to support instruction design’, and provided them. After completing the training course, we analyzed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training course and scaffold supports through a survey and a group interview.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was very high. More precisely,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application for the duty of the training course was 70.5 %. Interest and participation showed 94.1%, the arrangement of training hours, 5.9% and for instructors, 94./1%, respectively. W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arrangement of training hours was very low meant that trainees needed more hours to obtain the basic skills due to their lower levels of ICT literacy. The question about how they felt about the cognitive load when doing the assignments showed that 41.1 % of the responders recognized that it helped to solve difficulties, 82.4%, understood the content of the assignment and the process of doing the assignment, 58.8%, felt confident in completing the assignment successfully, 70.6%, felt search materials made the assignments easier, and 64.7%, felt a reduction in stress while they did the assign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