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근년에 동북아(韓中日台)의 중학교 기술교과 개정한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 목표와 내용, 교육 방법 및 평가 등을 비교 분석하여 차기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구성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 연구를 통하여 동북아(韓中日台)의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활용 가능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 방법과 비교 연구의 형식을 갖추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기초 기술 소양을 양성한 국민들의 필수교과로 이수과정을 실행 해야 한다. 둘째, 중학교 기술교과 향후 발전의 목표는 사회의 변화에 대처하는 문제해결과 설계능력, 창조능력, 궁극적 태도를 기초 방향으로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내용은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생활에서 대체로 제조, 건설, 통신, 수송, 생물 기술 등의 기술학에 근거하여 일관된 학문적 체계를 가지고하야 한다. 넷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교육방법은 전통적 강의법 등과 실습중심의 프로젝트법, 문제해결법등 교육방법을 결합하여 수용하야 한다. 다섯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평가 영역에서 지식의 이해, 기능, 응용, 태도 등의 측면을 평가하도록 평가 방법에도 다양성을 두어 수행 평가와 지필 평가를 병행하는 등 교육 현실과 평가 이론을 접목시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한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chnology Education(TE) curriculum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Japan and Tai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 curriculums in middle school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TE curriculums have been analyzed among four countries comparativel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 curriculums in four countries were focused on students’ adaptation toward future society and were implemented in a mandatory curriculum as a fundamental course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the most important aim of the TE is to promote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practical ability to adapt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four Northeast Asian countries were composed of consecutive academical structure based on the technologies of manufacturing, construction,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biotechnology. Fourth, four countries have the lecture style teaching method as a traditional teaching technique in TE classes. And CAI, field trip, problem solving method, project method, program teaching method, and modular teaching method are applied to the T. E.’s classes. Fifth, most countries like Korea, Japan, and Taiwan depend on the paper and practice test, and other evaluation methods such as actual training evaluation, observation, self-evaluation, colleague evaluation and report have been foun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