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술ㆍ가정과 에너지와 수송 기술 관련 내용에 대한 고등학생의 오개념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in relation to Energy and transpotation technology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 1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ㆍ가정과 에너지와 수송 기술 관련 내용에 대해 고등학생이 가지는 오개념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 조사와 교과서 분석, 오개념 발생 가능성이 높은 개념 분석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와 수송 기술에 관한 오개념 질문지를 개발하고,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빈도 분석하여 학생들이 가지는 오개념 및 발생 비율 등을 확인하며 오개념 형태를 단순화시켜 파악하기 위해 오개념의 유형 체계를 만들어 질문 문항별로 결과의 해석에 활용하였다.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H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1학년 8학급 27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투입하여 그 중 불성실한 답변지 7부를 제외한 265부의 응답 질문지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 관련 영역(Ⅰ영역), 에너지 변환 장치 및 동력 발생 장치 관련 영역(Ⅱ영역), 자동차 기관 관련 영역(Ⅲ영역)에서 문항별로 오개념을 확인하고 오개념 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각 영역의 빈도분석 결과 Ⅰ영역의 오개념 비율은 45.0%로 Ⅰ~Ⅲ영역 중 오개념 비율이 가장 높았고, Ⅱ영역의 오개념 비율은 34.4%로 오개념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Ⅲ영역의 오개념 비율은 42.6%로 두 번째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오개념 발생을 미연에 방지ㆍ오개념 교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며, 다른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표준화된 검사 방법과 검사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다양한 학생 또는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오개념 조사 뿐 아니라 오개념의 형성 원인, 오개념 교정, 오개념 교정 및 방지를 위한 학습모형의 적용, 수업 전략 수립 등의 다양한 목적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in relation to Ener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The study was conducted by following steps. First, literature survey, textbook analysis, and extracting concepts that have high possibility of misconception were preceded, and a questionnaire was made by using those. Second, after getting students’ answers for the questionnaire,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Lastly, students’ misconception patterns were categorized to comprehend simplified misconception forms, and those were used to interpret the resul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students, who were first graders, devided into 8 classes in H academic high school in Ulsan, and 265 of their answer sheets were processed and analyzed because seven poorly answered sheets were exclud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ergy related area(partⅠ), energy convert device and energy generating device(partⅡ), automobile engine related area(partⅢ) was questioned to students and then their misconception on each question was identified and misconception patterns were categorized. Second, this study achieved following results from frequency analysis of each part: partⅠ showed the most ratio for misconception among the whole three parts(partⅠ~Ⅲ), showing 45.5%. PartⅡ showed the least ratio for misconception among the whole parts, showing 34.4%. PartⅢ showed the second highest ratio for misconception among the whole parts, showing 42.6%.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teaching-learning procedure for prevention of developing misconception and correction of misconception. And following studies with various methods are needed to identify students’ misconception for other learning contents. Also there should be regularized test methods and development on text tool, followed by studies on diverse students and technology teachers. In addition to research on misconception, studies for many purposes are essential such as reasons for misconception formation, correction ways of misconception, applying ways in teaching-learning context for prevention and correction of misconception, planning instruction strategies etc.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