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293.jpg
학술저널

일부 성인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평가 : 구강내 오염도(ATP)와 치면세균막(O’leary Index) 변화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Operation of Oral Health Care Program in Some Adults: Focusing on Changes in Oral Pollution (ATP) and O leary Index

  • 42

본 연구는 B시 D대학 실습실내 방문한 대상자에게 설문조사와 계속구강관리 프로그램 진행하였으며 2018년 9월 13일에서 11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자는 45명이었으며 계속구강관리에 대한 효과는 구강내 오염도(ATP)와 치면세균막(O’leary Index) 지수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내 오염도와 치면세균막 지수 변화에서 구강내 오염도는 전반적으로 조금 증가하였으며 구강건강인지에서 구강건강이‘좋다’라고 응답한 경우에서 치면세균막 지수가 전보다(53.02) 후가(45.18)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0).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내 오염도와 치면세균막 지수 변화는 구강내 오염도는 전보다 후가 수치가 조금 증가하였으며, 치면세균막 지수는 칫솔질 횟수가 적은 경우에서(p<.027), 칫솔질 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p<.034), ‘치간세정을 가끔 한다’고 응답한 경우에서(p<.038) 전보다 후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주간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의 구강건강행태에서 치면세균막의 지수(O’leary Index)가 유의미한 차이로 감소한 것으로 보아, 구강건강을 유지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수행이 대상자의 행동변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여 지며, 나아가 임상에서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활성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continuous oral care program for the subjects who visited B University D s lab and conducted from September 13, 2018 to November 30, 2018.The final subjects were 45 subjects. The effects of on-going oral care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TP and O leary Index indexes.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oral contamination was slightly increased overall in the change of oral contamination and the periodontal bacterial membrane index. Decreas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10). Intra oral contamination and dental plaque index chang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behavior, the intra oral contamination level was slightly higher than before. In the case (p <.03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responding that intercalation was occasionally performed (p <.038). In the oral health behavior after 4 weeks of continuous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the O leary Index de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It has been shown to be helpful for behavioral change,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eek activation for clinic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5.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