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293.jpg
학술저널

강점 발휘 활동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tivities of Character Strengths 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 54

본 연구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여 발휘하는 활동이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설계로 진행하였다. 간호학과 재학 중인 4학년 104명이 연구대상자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12주간 강점발휘 활동과 일지 작성을 하도록 하였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행복감(β=.022, p<.001), 학과성적(β=.108, p=.004), 대인관계(β=.111, p=.011), 전공만족도(β=.116, p=.01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 발휘 활동 전 회복탄력성은 3.67±4.2에서 활동 후 3.90±.41점으로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793. p<.001). 한편 주관적 행복감은 24.43±6.34점에서 21.71±9.24로 감소되었다. 이처럼 강점 발휘 활동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임을 확인하였고. 이에 간호학생이 향후 신규간호사로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고 어려움을 극복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자신의 강점을 찾고 강점을 발휘하는 활동을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되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ctivities done to find personal character strengths 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in a on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A total of 104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to discover own personal strengths. They were told to use these strengths in activities and write journals for 12 weeks. Factor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fluence of resilience were happiness(β=.022, p=.000), academic scores(β=.108, p=.004), personal relationships(β=.111, p=.011) and satisfaction of major(β=.116, p=.012). Resilience after character strength activities increased from 3.67±4.2 to 3.90±.41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3.793. p=.000). However subjective happiness decreased from 24.43±6.34 to 21.71±9.24. These results show the positive effect that character strength activities have in resilience. Hence for new nurses to adapt to new environments and to overcome weaknesses resilience increase from prolonged character strength activities in everyday life is regarded importan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