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육 관료와 교수 관계에 관한 역사적 분석

A Historic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eaucrats and Profess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 206
커버이미지 없음

이 논문은 한국의 교육정책 역사에서 관료와 교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발전 국가 시기까지 관료의 정책 주도성은 명확하였고, 교수들은 정책 과정에 부분적으로 봉사하였다. 이 시기에 미국에서 유학을 마치고 온 교수들이 소개하는 새로운 개념이나 기법 등이 교육정책에 활용되기도 했다. 민주화 이후, 특히 1995년 교육개혁 이후 관료와 교수는 개혁가 대 개혁 대상, 평가자 대 평가 대상, 재정 배분자 대 수급자의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이런 변화는 한국이 글로벌 교육정책 장에 편입되면서 신자유주의에 터한 유동 개혁이 국내로 상륙하고, 관료들이 유동 개혁을 소개하는 통로가 된 사실과 깊이 관련된다. 정책 과정에서 관료 주도성이 명확하기 때문에, 교육 관료들의 스키마를 분석하는 일이 향후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bureaucrats and profess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has changed in Korea.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al state, bureaucrats policy initiatives were very strong, with professors partially assisting in the policy process. At this time, new concepts and technique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education policies by professors who hade returned from the United States. After democratization, especially after the reform of education in 1995, bureaucrats and professors entered into the relationship of reformer versus the reform target, the evaluator versus the subject to be evaluated, and the financial allocator versus its recipient. This change is deeply related to the fact that since Ko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global education policy field, Korean education began to be baptized in the new public management reform introduced by the bureaucrats. Since bureaucrats have had the initiative in the policy process, analyzing so called the schema of educational educational bureaucrats should b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future.

Ⅰ. 들어가며

Ⅱ. 관료와 교수 간 관계 분석 틀의 구성

Ⅲ. 분석

Ⅳ.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