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458.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 116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학과와 일반교직과정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식유형의 전체분포에서 유아교육전공 유형 1은 대부분 2학년 학생들로, 유형 2와 유형 3은 대부분 4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어 학년별로 유형이 구분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일반교직전공에서는 유형 3에서 학년별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유아교육전공은 3개 유형 간 인식의 공유가 높게 나타난 데 비해 일반교직 전공은 유형 간 독립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 각 세 개로 구분된 인식유형에서 유아교육전공은 체험 및 놀이 강조형, 교수전략 중심형, 갈등형의 세 유형으로, 일반교직전공은 교사-학생 공동 참여형, 자기주도학습 강조형, 흥미-동기형의 세 유형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유아교육전공과 일반교직전공 예비교사의 인식은 ‘학습자의 경험’과 ‘교사의 역할’이라는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통된 이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양성과정별로 이루어지는 수업문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예비교사의 교수·학습관이 구성되는 과정에 교사양성과정 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 s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or the analysis Q-methodology was applied to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classified types of their percep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distribution of cognition types showed that type 1 is mostly 2nd grade students and type 2 and 3 are mostly 4th grade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major type 3 show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udents’ grade levels. In addition,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howed a high level of shared recognition among the three types, whereas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major show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three types. The early childhood students’ recogni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xperience and Play type, Teaching Strategy type, and Conflict type while the general education major students’ perceptions were into Teacher-Student Co-Participation type, Self-directed Learning type, and Interest-Motivation type.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found in terms of learners experiences and teachers roles.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a system of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he its culture an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he system on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beliefs.

1. 서론

2. 연구결과

3. 연구방법

4.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