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31.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보상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s of Job Stress of Life Managers for Elderly Living Alone on Turnover Intention: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Compensation

  • 207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을 돌보는 생활관리사의 이직 의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관련 변수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와 보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27 개 노인생활돌봄센터 (20 개 민간위탁 관리기관, 7 개 지방정부 관리기관)에서 881 명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을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Statistics Version 21.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는 AMOS 21.0 Version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는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클수록 이직의도는 강해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는 유의미한 부(-)의 인과관계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클수록 직무만족도는 약화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 변인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전체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노인생활관리사에 대한 보상 변인이 이직의도 변인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개인성장 목표를 지원하고,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related variables on turnover intention of life managers who car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pecifically, the objective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nsation. For this purpose, 881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surveyed at 27 elderly care centers in Korea (20 private trust management agencies and 7 local government management agencies). PASW Statistics Version 21.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MOS 21.0 Version was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had a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it was prov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pensation variable for life manag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elderly living alone on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for the personal growth goals of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mplications for the reduction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were presen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