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대회자료
키워드
초록
등록된 초록 정보가 없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의 마한 영역화
Ⅲ. 백제 도성과 왕궁
Ⅳ. 백제 지배층의 무덤과 부장유물
Ⅴ. 백제인의 생활문화
Ⅵ. 백제 사찰과 불교유물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61)
- 가야
- 고려·조선시대 육상 도로망과 특징
- 고대 한국과 일본의 배모양토기와 해상교류
- 통일신라시대 육상 도로망과 특징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中國 戰國~秦漢時代 甕棺墓의 形成과 性格
- 서울 방이동고분군 3호분의 구조와 편년
- 日本 九州地域 彌生時代 甕棺墓 葬送儀禮 プロセスの復元硏究
-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
- 통일신라
- From Local Heritage to World Heritage: Some Observations from the UK on the Promo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Japan and Korea
-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 흑요석을 중심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본관품’의 형성 과정과 그 성격
- 점토대토기 집단의 확산과 네트워크
- 베트남 옹관묘의 상장의례 검토
- 옹관고분 매장 프로세스 검토와 과제
- 청동기시대 조기문화 성립과 지역 간 관계변화
- 신석기시대 네트워크 변동과 초기농경 수용
- 신라
- 고대 동남아시아 내륙부의 묘제와 장송의례
- 방이동고분군 3호분의 구조공학적인 특성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미술관의 전시 서사
- 日本 近畿地域 古墳時代 葬送儀禮 復元 硏究 - 토기관묘와 聚落遺跡을 中心으로
- 백제와 마한
- 수중고고학과 수중문화재 조사의 이해
- 제실 박물관에서 이왕가 미술관으로: 박물관 소장품의 구성과 특성 변화
- 태안 마도해역 수중발굴의 역사적 의미
- 조선
- 현대 한국 문화유산 관리: 국보에서 유네스코까지
- 수중고고학에서의 보존처리
- 고려
- 제주 신창리해역 수중발굴조사
-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 한국 고중세(古中世)시대의 육상 운송수단 - 기마와 태마, 마차와 우차
- 청동기시대의 석기 제작과 생산 체계
- 수중문화재 발굴현장에서의 탐사장비 활용연구
- 목탄과 인골의 탄소연대측정치가 지시하는 방이동 3호분의 연대
- The professionalization of archaeology: Korean archaeologists and the govern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1945-1979)
- 구석기시대
- 신석기시대
- 고구려
- 日本古代の道路 - 7~9世紀における日本古代交通遺跡の研究
- 고려~조선시대 역·원 시설 관련 발굴 유적과 입지적 특성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영남지역 옹관묘 장송의례 연구
- 태안 당암포해역 수중발굴조사
- 서울 방이동 3호분 출토 인골에 대한 검토
- 백제 왕실묘역과 방이동고분군의 성격
- On the Symbolic and Interpretative Function of the Hongshan Culture in Pseudoarchaeology and New Religions
- 청동기시대
- 부여와 옥저, 읍루
- 옹관 제작과 운반과정의 의례
- ‘과정(process)’으로서의 유산: 문화유산의 범주, 해석 및 관리
- 서울 방이동 3호분 축조용 석재와 토양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산지연구
- 수중고고학 발굴조사 방법
-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무덤과 사회적 연결망
- 고려·조선시대의 해로와 선박
- 수중고고학의 대중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활동을 중심으로
- 초기철기시대
- 문헌을 통해 본 고대 장송의례 - 백제를 중심으로
- 근대 분류 체계와 박물학의 등장
- 비파형동검문화 청동 네트워크와 상호작용
- 黒曜石交易ネットワークの出現と縄文社会の動態 - 縄文時代前半期における黒曜石流通を中心とし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