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59.jpg
학술저널

통합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기반과 방향

Ground work and Direction of Dance Educatuin as an Unified Course of Study

  • 99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통합교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교과의 명확한 의미에 접근하여 앞으로 무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통합무용교과의 기반이 되는 하워드 가드너, 스미스 오타드, 맥신 그린, 마가렛 두블러의 이론을 살펴본다. 이들의 교육관은 무용을 단지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심미적, 예술적 경험과 다양한 방법으로 통합하고 이를 통해 신체적 발전 뿐 아니라 언어적, 논리적, 사회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통합교과로서 무용교육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된다. 그러므로 통합교과로서의 무용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단지 무용의 신체적인 측면만을 강조하거나 다른 학문 또는 다른 방법적인 교수법을 동원하여 내면화시키고 효율성을 따지지 않아야 할 것이다. 즉, 통합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을 위한 무분별한 통합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실제적으로 무용교육이 가지는 자체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교차학문으로서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as an unified course of study understanding of integrated curriculum, which is emphasized this era. Also, many scholars such as Howard Gardner, Smith-Autauard,, Maxine Greene, and Margaret H Doubler insisted on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This research considered that their philosophies are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in various ways.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show that dance is not an independent course, but it is important ground work because dance has many possibilities. Aesthetic, artistic experience,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can be combined. Not only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linguistic, social, logical development can be improved. Therefore, in order to settle dance as integrated curriculum, it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physical aspects or bring different teaching methods from different courses without mature consideration. So, the unreflective integration should be denied, and many possibilities in which dance education has should be opened and researched through trans-disciplinarity.

1. 서론

2. 통합교육과 무용교육

3. 통합교육으로서 무용교과의 기반

4.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