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59.jpg
학술저널

브랜드 자아일치성이 애착효과에 미치는 영향: 문화예술향유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Brand self-congruity on Attachment Effect : Focused on the culture art enjoyment

  • 98

본 연구는 문화예술 소비자의 자아일치성과 여가제약 그리고 문화예술 애착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최근에 들어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졌으며, 사람들은 문화예술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크게 두 부분으로 본 연구를 구성하였다. 첫째, 자아일치성이 문화예술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문화예술 소비자와 브랜드를 활동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둘째, 여가제약의 차이분석을 통해 문화예술 소비자의 여가제약요인을 파악하여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적 자아요인과 이상적 자아 요인이 문화예술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구조적, 대인적, 내재적 여가 제약요인에 따라 이상적 자아 요인만이 문화예술 애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가 이상적으로 바라는 이미지를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는 구조적, 대인적, 내재적 제약요인을 극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is about self-congruity, leisure constraints, and attachment to culture and arts. Brand attachment is a concept that maintains and strengthens brand loyalty of consumer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there have been many paths for accessing cultural arts, and people are also tending to relieve stress through cultural arts. Therefore,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it identified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on cultural art attachments and played an active role in connecting cultural art consumers and brands. Second,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of leisure constraint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of cultural art consumers and to suggest ways to revitalize the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factor and the ideal facto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achment to culture and arts. Secon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leisure constraints, only the ideal self-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achment of cultural arts. Based on the abo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fore, satisfy the image that consumers ideally want, there is a need to overcome structural, interpersonal and inherent constrai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가설전개와 연구모형

4. 실증분석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