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59.jpg
학술저널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회피와 걱정을 매개변인으로

The Effects of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on Anxiety: Cognitive avoidance and Worry as Mediators

  • 138

본 연구는 불안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인지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인지적 특성으로 해석 편향, 인지적 회피, 걱정이 독립적으로 불안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석 편향, 인지적 회피, 걱정, 불안 간의 상호 관련성에 대하여 밝히고, 해석 편향, 인지적 회피, 걱정과 같은 인지적 특성들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 342명을 연구 대상으로 모호한 상황에 대한 해석 편향(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인지적 회피(Cognitive Avoidance Questionnaire; CAQ), 걱정(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불안(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S)에 대한 질문지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SPSS 18.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모호한 상황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회피와 걱정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ognitive characteristics that are known to cause anxiety. In previous research, interpretive biases, cognitive avoidance, and anxiety have been known to cause anxiety independ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effects of interpretation bias, cognitive avoidance, and worry on anxiety level. 342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interpretation bias(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cognitive avoidance(Cognitive Avoidance Questionnaire; CAQ), worry(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and anxiety(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SPSS Macro. The results suggested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bias and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