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59.jpg
학술저널

지역별 주택시장 버블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Housing Market Bubble by Region

  • 92

본 연구는 임대료/주택매매가격 비율의 안정성 여부를 Rolling ADF test를 이용해 지역별 버블 정도를 파악하였다. 2003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의 전국, 수도권, 지방권과 서울, 강남, 강북의 주택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와 CD금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주택시장의 버블은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2월, 2013년 1월부터 2013년 5월과 2014년 10월부터 2015년 10월로 3개의 기간에 나타났고 강남지역만 여타 지역과 달리 2017년 10월부터 2018년 4월까지 네 번째 버블기간이 형성되었다. 강남지역의 네 번째 버블기간은 최근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가격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버블의 크기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유사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명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정부정책당국자는 지역별 버블지표를 모니터링 해 버블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지역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주택정책을 수립집행시 효율적인 정책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used the Rolling ADF test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the rent / housing sales price ratio. This study used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 the Chonsei price index in the nationwid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regions and in Seoul, Gangnam, and Gangbuk. and the CD rate from September 2003 to January 2019.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housing market bubble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rom November 2007 to December 2008, January 2013 to May 2013 and October 2014 to October 2015. Only Gangnam area had a fourth bubble period from October 2017 to April 2018. It seems to be due to the recent price increase in the Gangnam region. The size of the bubble varied by region, but showed similar movements and distinct periodicity. The policy implications are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makers will observe the bubble indicators by region and establish effective housing policies in areas with relatively large bubble sizes.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분석방법론

4. 실증분석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