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alua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the Elderly (TEMPA)
한국판 TEMPA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이창대(Lee, Chang-Dae) 정민예(Jung, Min-Ye) 박지혁(Park, Ji-Hyuk) 김종배(Kim, Jongbae)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8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1
- 65 - 76 (12 pages)
목적 : 본 연구는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elderly (TEMPA)를 한국판으로 수정 및 번역하고 그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40세이상의 손 기능에 장애가 없는 성인 171명과 손 기능에 장애가 있는 성인41명 이었다. 내용 타당도와 분별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검사자 간 신뢰도를검증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를 통해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2개의 항목 (‘자물쇠 열고 약통 열기’,‘편지 봉투 작성하고우표 붙이기’)을 수정하였다. 분별 타당도를 통해 TEMPA는 손 기능에 장애가 있는 성인과 없는 성인을구별할 수 있는 평가 도구임을 확인 하였다 (p<.001). 신뢰도 검증 결과 수행 속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 .71-.92, 기능 정도는 카파계수 (kappa) = 1.0, 수행 분석은 ICC = 1.0로 중간수준에서 높은수준의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자 간 신뢰도는 실행 속도 ICC = 1.0, 기능 정도 kappa = .79-1.0, 수행 분석 ICC = .94-1.0으로 상당한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TEMPA는 손 기능의 장애가 있는 성인을 구별해 낼 수 있고,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이는 평가도구로 임상적 평가 및 근거 기반의 연구에 있어 많이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the Elderly (TEMPA) by modifying its items 새 exhibit cultural difference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71 healthy adults and older adults and 41 individuals with impaired upper extremity function. Cont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nalyzed. Results : The following items, exhibiting cultural differences, were modified: “open a lock and take the top off a pillbox”and“write and affix a postage stamp.” The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normal upper extremity function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ith impaired 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p<.001).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execution spee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71–.94, functional rating (kappa) was 1.0, and task analysis (ICC) was 1.0.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peed of execution was 1.0, functional rating was .79–1.0, and task analysis was .94–1.0. Conclusion : TEMPA has moderate to high level of reliability and is an assessment tool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individuals with upper extremity impairment from those without impairment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IV. Discussion
V.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