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단체표준의 활성화, 민간표준 발전, 효율적인 단체표준 운영체계 구축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체표준에 대한 기초 이해, 단체표준의 현황, 단체표준의 주요 이슈, 단체표준 인증 제도의 문제점, 단체표준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단체표준은 국가표준이 미치지 못하는 분야에 제정되는데 국가표준과의 중복 문제, 단체표준과 단체표준 관련 인증의 공정성 문제, 단체별 표준화 및 인증 활동에 대한 관리, 검증 및 모니터링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존재하고 있다. 단체표준 인증 업무 수행을 위한 전담조직 구성, 인증심사원 확보, 인증업무규정 보유, 인증업무의 공정성 보장, 시험설비 및 제품검사원 확보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단체표준인증 단체에 대한 명확한 지정 기준 확보, 단체표준인증 단체를 지정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체제 수립, 국가 인증과 단체표준 인증의 중복 문제, 소비자 지향적 단체표준인증제도 확립은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 단체표준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단체 및 운영 사무국은 단체표준제정 단체의 법적 구비요건, 인증업무 규정 준수, 인증심사 공정성 등 단체표준 및 관련 인증제도 운영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체표준의 활성화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단체표준 정책, 단체표준의 중복문제 및 재정비, 단체표준의 자율․효율적 운영체제 구축 및 운영, 단체표준 인증제도 신뢰성 확보를 위한 인정제도 개선, 단체표준 운영체계의 개선 및 관리 강화, 단체표준 관련 연구조사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단체표준제정 단체 관리, 단체표준제정 단체의 적격성 관리, 단체표준의 심의 및 등록절차 개선 등이 필요하다. 또한, 민간 인증과 국가 인증 등 너무 많은 인증 제도 속에서 소비자혼란을 막고 소비자복지 증진을 위해 인증 제도의 공공재적 특성, 소비자 이익과 소비자복지 관점의 단체표준 관련 인증제도가 운영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단체표준 기관 및 단체표준 관련 인증제도의 관리 강화, 단체표준 및 인증제도의 선진국형 개선, 소비자 지향적 단체표준 운영체계 구축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Standards,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Collective Standards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basic understanding of Collective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ve Standards, the main issues of Collective Standards, the problems of the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direction of Collective Standards activation. Collective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areas where national standards fall short, and there are points that duplication with national standards, fairness of certification related to Collective Standards and Collective Standards, and management, verification and monitoring of Collective Standardization and certification activities are not efficient. have. Tasks include organizing a dedicated organization to conduct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tasks, securing certification auditors, retaining certification task regulations, ensuring fairness of certification tasks, and securing test facilities and product inspectors.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ystem for designating and managing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bodies, the duplication of national certification and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nsumer-oriented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still need to be improved.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s that manage and operate Collective Standards should thoroughly manag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related certif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legal requirements of organizational standards, compliance with certification work regulations, and fairness of certification audit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lan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Collective Standards. In particular, the Collective Standards policy that responds to market changes, the redundancy problem and rearran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utonomous and efficient operating system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he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system to secure credibility, to strengthen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o expand the research on Collective Standard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anage organizational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manage the competence of group-based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review and registration procedures for Collective Standard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and to promote consumer welfare in the too many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private certification and national certification, the certif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Collective Standards in terms of public financial characteristics, consumer interests and consumer welfare should be operated.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organizations and Collective Standards-related cert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advanced country type of Collectiv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and to establish and use a consumer-oriented Collective Standards operating system.
Ⅰ. 서 론
Ⅱ. 단체표준 제도의 기초 이해
Ⅲ. 단체표준의 활성화 방향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