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22.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마이닝기법을 활용한 남녀 학생의 인구문제에 관한 인식 분석: 인구교육의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opulation Problem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using Text-mining: To Drive the Implications of Population Education

DOI : 10.19031/jkheea.2019.09.31.3.73
  • 61

이 연구는 인구 문제에 대한 남녀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여 인구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J 대학교의 인구교육 강좌인 「인구와 사회」수업을 수강한 학생이 개인별로 최종 제출한 보고서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라 인구 문제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가를 분석하였다. 우선,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핵심단어를 추출하여 의미연결망 분석을 하고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출현 빈도 단어 100개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10위까지의 단어는 ‘인구’, ‘교육’, ‘문제’, ‘결혼’, ‘사회’, ‘출산’, ‘심각’, ‘사람’, ‘우리’ 등으로 남녀가 동일하였다. 또 출현 빈도, 연관분석에 따라 핵심단어를 추출한 후, 의미 연결망을 시각화한 결과,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한 경우, 의미 연결망 중앙에 위치하는 단어에 남녀차이가 없었다. 둘째, 연관분석에 따라 추출된 핵심 단어와 바이그램 단위로 추출한 핵심 단어는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여학생의 단어의 의미 연결망에서 ‘생활’-‘결혼’-‘출산’-‘임신’의 연결망이 독립적으로 나타나서, 인구 문제에 대해 분리된 객관적 연결망을 보이는 남학생과 구별되었다. 따라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인구 문제에 대해 다른 인식 구조를 갖는 이질적인 집단으로 봐야 하고, 인구 교육에 있어 내용과 방법을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bout population problems and to draw up implications for population education. Using text mining, the report about population problem, which had written by students in population education class, were analysed. After extracting key words, semantic networks were visua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frequency words were the same for each gender. Second, key words based on frequency did not differ depending on gender. And the key words extract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bigram were different. That is, in the semantic network of girls’ words, the network of “life”-“marriage”-“birth”-“pregnancy” appeared independently, distinguishing it from male students who showed separate objective links to population problems. Therefore, it drew suggestions that male and female students should be viewed as heterogeneous groups with different cognitive structures on population problems and that the content and methods of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관련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