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22.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부적응 학생 대상 예비부모교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chool-Maladjustment

  • 83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17차시 중 9차시를 일부 수정하여 제주도 일반계 고등학교 대안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10명에게 실시하였다. 예비부모교육의 참여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가족가치관의 긍정적 변화와 피임, 기초 돌봄, 자녀발달단계별 부모의 역할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정보획득,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과 올바른 양육환경에서 자라지 못한 경우가 많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올바른 부모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어 개인에게는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사회적으로는 학대의 대물림을 방지하여 가정의 건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학교부적응 학생의 긍정적인 신념의 변화와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 등의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은 학생의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학교부적응 학생 예비부모교육 수업은 효과적인 학업중단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school maladjusted students. To this purpose,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MOGEF) was applied to ten high-school maladjusted students in an alternative(Dae-an) class in Jeju. Findings from clas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recognized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ositive self-concepts and had an opportunity for self-growth through parenting education program. Second,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obtained understanding about their family of origin and confidence for forming their future families. Third, advance learning about meanings and roles of being a parent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know importance of responsible sexual behavior. Fourth, practices of basic care with a replica of a new-born baby enhanced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on level of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which became extremely effective in obtaining necessary knowledge for the basic care. Fifth, information provision for parent roles according to children’s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s let students recognize that parent’s roles change as their children grow and opened a way to grasp the need of parent education. Sixth, education and repetitive practices on reflective listening helped students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which entailed expanding their human relations. Seventh, passing-down of emotion and understanding on child abuse allowed students recognize risks of child abuse as well as the importance and need of skills for controlling emotion. This study sheds lights on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maladjusted or vulnerable students as an effective program for school drop-out preventio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