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44.jpg
학술저널

무용의 대중화를 위한 학원교육의 방향

The Direction of Private Academy Educat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Dance

  • 62

무용은 학교에서 주요한 교육역할을 담당하나 현실은 무용전담교사의 부족, 교재나 학교시설의 미비로 인하여 충분한 교육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설 무용학원을 찾는 경우가 점점 늘어가고 있으나, 실상은 유아발레나 입시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에 성인을 위한 발레의 보급이나 대중화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 무용의 대중화를 위한 사설 무용학원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하여 무용의 이로운 점 등을 널리 홍보하며 특히 학원 무용교육에 참여하는 학생이나 일반인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별화 수업모형교육”과 “개인의미 학습모형”을 구체화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체계화와 단계화가 실현된 학원의 교육프로그램과 대중적인 공연이나 작품 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수업을 모집· 개설하여 무용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는 프로그램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설 무용학원의 경영 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경영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ance plays a major educational role in schools, but in reality, there exists a lack of full-time dance teachers as well as sufficient education or school facilities.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private dance academies is increasing. However, in fact, the education of infant ballet or entrance examination is not much helpful popularizing adult ballet. In order to expand the role of private dance academy for the popularization of dance,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benefits of dance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students and the public. Therefore, by incorporating “individualized class model education” and “individual meaning learning model”, we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of the institute that realize the systematization and gradation of classes for adults and recruit classes that can directly experience popular performances and works. The current study suggests development of a program designed to increase a sense of intimacy with dance that public has.

1. 서론

2. 무용교육의 이점

3. 무용교육의 이론과 모형

4. 무용의 대중화를 위한 교육

5.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