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영화제작인력의 직업만족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Classification of Job Satisfaction Types and Valid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f Film Crew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11호
- 2019.11
- 513 - 530 (18 pages)
본 연구는 영화산업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직종의 영화제작인력들이 임금만족, 업무만족, 조직 내 대인관계, 직업환경 등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경험적으로 유형화되는지를 파악하고, 관련 영향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영화제작 인력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영화제작인력들의 직업만족 유형은 ‘처우업무 불만족형 집단’(8.8%), ‘낮은처우업무긍정형집단’(63%), ‘성취형집단’(27.4%) 등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잠재프로파일 분류 영향요인 분석결과, 연봉, 표준계약서 작성비율, 전문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경력장애 수준은 성취형 집단(27.4%)과 다른 집단을 구분하는 요인이고, 업무자율성, 예술가의 정체성, 사회지지 수준은 처우업무 불만족형 집단(8.8%)과 다른 두 집단을 구별할 수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은 낮은처우업무긍정형집단(63%)과 다른 두 집단을 구별하는 요인이이고, 학력, 업무효능감, 삶의 소진 수준은 세 집단을 구별할 수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학력과 업무효능감이 가장 높은 집단은 성취형 집단이고, 가장 낮은 집단은 처우업무 불만족형 집단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examines how various types of filmmakers working in the Korea film industry are empiric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com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ing place,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n related influence factors are identifi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of 402 film crew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among filmmakers i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unsatisfied with treatment and career work (8.8%), positive career work with low treatment (63%) and achieving (27.4%). As a result of validation of influential factors, income, the rate of standard contract,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and level of career barrier ar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achievement group(27.4%) from the other groups. Work autonomy, artist identity, and social support a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nsatisfied with treatment and career work grou (8.8%) from the other groups. Gender is the distinguishing factor between positive career work with low treatment(63%) and the other two. Education level, work efficiency, and burnout a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three groups. The group with the highest education level and work efficiency is found to be the achieving group and the lowest group with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and career work.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