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활동이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munity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on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11호
- 2019.11
- 639 - 649 (1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지역사회활동을 실시하여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의 1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다. 연구진행은 G시의 지역사회주민들을 대상으로 2018년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동안 지역사회활동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지역사회활동의 효과 검정을 위해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을 위한 지역사회활동은 대인관계(t=-6.069. p=..000), 자기효능감(t=-2.820. p=.017), 셀프리더십(t=-2.813. p=.017)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활동은 간호학과 대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올바른 정착과 함께 사회봉사활동과 전공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간호교육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fficiency and self-leadership effects by conducting community activities to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i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or 12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semester from May to November 2018 for community residents of G c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 WIN 22.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by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quired t-test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activities. Studies show that community-linked activities for nursing students are interpersonal(t=-6.069. p=...000), self-efficiency(t=-2.820. p=.017), self-leadership (t=-2.813. p=.017) had a significant effect, confirming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community activities could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through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links with whole engineering literature, along with the correct settlement of nursing and college student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