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44.jpg
학술저널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과 음주행태 관련성 분석: 제7기(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활용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drinking behaviors among Koreans Adults using data from the 7th(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27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 당뇨병과 음주행태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음주 행태에 따라 요구되는 맞춤형 교육과 행태변화를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를 기초자료로 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의 성인 5,7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25 ver. SPSS를 이용하였으며 복합표본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이 ‘5-6잔/일’ 인 경우, 음주량이 ‘1-2잔/일’에 비해 당뇨병 발생이 약 1.7배 높았으며 폭음빈도의 경우, 폭음을 안 하는 경우에 비해 ‘한 달에 한번 정도 폭음’ 하는 경우가 당뇨병 발생이 약 1.4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당뇨병 환자의 음주문제에 대한 인식을 교정하고 음주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당뇨병과 음주와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으나 전국적 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대표성을 가지며, 음주행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drinking behaviors on Koreans over 30 years old.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d χ2 and T-test were conducted based on complex sample analysis by using SPSS/WIN 25.0 program. The study sample comprised 5,462 who was responded to the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cidence of diabetes in amount of alcohol consumed 5-6 cups / day was about 1.7 times higher than 1-2 cups/day’ ones in final regression analysis model. And the incidence of diabetes in binge drinking once a month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no binge drinking.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and interventions are needed to correct the drinking problems in diabetics patients and to increase their sensitivity to drinking problem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and alcohol consump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representativ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by analyz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 nationwid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