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44.jpg
학술저널

노인장기요양기관(시설급여) 평가의 품질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다층평가시스템 방안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nd Multi-layer Evaluation System for Quality Management of Elderly Long-term Care Institution

  • 100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지표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평가현장 적용성 및 실효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의식하에, 노인장기요양기관(시설급여) 평가의 품질향상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2018년도 노인장기요양기관(시설급여) 평가지표에 대한 분석적 고찰, 일본의 노인특별요양홈 평가지표에 대한 분석,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와 일본의 노인특별요양홈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지표 및 평가체계에 관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용자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측면에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노인의 특성, 즉 유지 및 호전되기 어려운 노인성 질환의 특성과 기관운영의 방향 및 투명성, 그리고 종말기 케어의 필요성 등을 반영하였다. 기관운영, 환경 및 안전, 수급자 권리보장, 급여제공과정, 급여제공결과를 포괄하는 43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중복되고, 불필요한 평가과정을 개선하여 평가의 과정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4단계 다층평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ex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facility salary) evaluation in the sense that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es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are insufficient. There was this. To this end, an analytical review of the 2018 long-term care institution (accommodation benefit) evaluation index, an analysis of Japan s elderly long-term care home evaluation index, and the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y workers in Korea and the special care home for the elderly in Japan FGI on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system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in terms of supporting users to receive high quality servi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diseases that are difficult to maintain and improve, the direction and transparency of institutional operation, and the need for terminal care were reflected. Forty-three evaluation indicators were presented, covering institutional operations, environment and safety, beneficiary rights protection, payroll process, and payroll results. In addition, we proposed a four-step multi-level evalua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valuation process by improving the redundant and unnecessary evaluation proces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노인장기요양기관(시설급여) 평가의 품질관리를 위한 제언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