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한 가정과 예비교사의 수업 분석
An Analysis of Interaction Types in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 Using Advanced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Method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31권 제1호
- : KCI등재
- 2019.03
- 39 - 58 (20 pages)
본 연구는 교육실습 동안 가정과 예비교사의 수업 상황에서 언어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4명의 가정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참여 관찰을 한 이후 녹화된 자료를 AF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예비교사의 언어 상호작용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교사의 ‘강의’, ‘비언어적 상황’, 교사의 ‘질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 조성’, ‘칭찬이나 격려’ 항목에서는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학습자에게 ‘지시’ 혹은 ‘학생 비판이나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수업 상호작용의 형태는 ‘교사의 질문-학생의 반응적인 발언’ 혹은 ‘강의-질문’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수업에서는 ‘교사의 질문-학생의 주도적인 발언’, ‘강의-교사의 질문-칭찬이나 격려, 학생의 아이디어 수용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에서 지수 경향은 전체적으로 비지시적인 경향을 띠며, 학습자의 발언에 허용적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질문비가 높고 첫 수업에서 학생의 발언비와 넓은 답변비는 낮게 나타났으나 마지막 수업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 분석에서 수업 운영에 대한 질문과 확산형 질문이 증가하였으며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안내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질문에 대하여 확산적인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교과 지식의 전달을 촉진하고 학생과 적극적인 언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자기수업 분석과 함께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For this purpose, the class interaction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were record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dvanced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tem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occurrences consisted of the pre‒service teachers’ ‘lectures’, ‘nonverbal conditions’ and ‘asks questions’. ‘forms a positive learning atmosphere’ and ‘praises or encourages’ exhibited fewer occurrences, and there was little ‘giving direction’, ‘criticizing students or justifying authority’. Second, the instances of class interactions appeared in the form of ‘asks questions‐student talk response’ or ‘lecture‒asks questions’, and in the last class were ‘ask questions‒student talk initiation’ and ‘accepts or uses ideas of students’. Third, trends of verbal interactions tend to be generally indirect, and students’ remarks have appeared acceptable and compassionate. Fourth, according to expert analysis, ‘class management questions’ and ‘diffusion questions’ have increased. Pre‒service teachers can guide students through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can expand their thinking through the teachers’ questions. As these results demonstrate, self-study analys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active support in field are nee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