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29.jpg
KCI등재 학술저널

패션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패션에 관심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Fashion career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caree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Fashion

DOI : 10.19031/jkheea.2018.03.30.1.1
  • 49

본 연구는 자유학년용 패션관련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패션관련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중학생들의 진로자아효능감이 향상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세 곳의 중학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션관련 활동과 탐색활동으로 구성된 10차시분량의 패션진로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활동보조자료가 개발되었다. 중학교 자율학년 운영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패션진로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해결을 통한 성취경험과 롤모델의 수행성공을 통한 대리경험, 성공한 자신의 경험의 되돌아봄, 앞으로도 잘 할 수 있다는 지도교사와 친구들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진로자기 효능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과 관련된 실습활동과 탐색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이해와 탐색, 직업의 정보의 수집활동, 문제해결, 계획수립 등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계획하고 준비하는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aree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fashion career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for Free-semest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middle schools were implemented and their effects were verified. First, the fashion career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subordinate elements of career education: job information searching, self-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career-planning, and problem-sol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career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ositive experiences of accomplishment through task solving, the role experience of successful role model, the return of successful experience, and the positive interactions of teachers and friends that can be done in the future have brought positive changes to career self-efficacy. Second, this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self-efficacy sub-factors, which are career exploration 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efficacy, and career-performing efficacy. As a result of practicing and exploring activities related to fashion, It seems to be due to the self - confidence of planning and preparing their own career through their self-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collecting information of job, problem solving, career planning, etc.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