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의 변화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of Children’s Poems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한국초등국어교육
- 제67집
-
2019.107 - 32 (26 pages)
- 47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와 󰡔국어 활동󰡕 교과서에 수 록된 동시(동요, 동시조 포함) 작품들을 조사하고, 기존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과의 차이 를 중심으로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아동의 문식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며 문학 작품에 입문하게 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은 교육성과 예술성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앞선 교육과정기의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에 대한 기존 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지 못했지만, 일부 작가와 작품들은 교과서에 반복해서 수록 되면서 교육 정전으로 구성되어 왔다. 이 중 일부는 2015 개정 국어 교과서에도 수록되 어 있다. 2015 개정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운문 형태의 텍스트 중 동요와 동시(동시조 포함) 71편을 분석한 결과 새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 고 있었다. (1) 기존 교과서에서 동심주의 경향의 동시가 주류를 이루어 왔던 흐름과 의성어와 의태어를 중심으로 ‘재미’를 강조하는 현상은 새 교과서에서도 지속되고 있었 다. (2) 새 국어 교과서에는 2010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들이 대거 수록되었고 아동-특히 도회적 삶을 살아가는-의 생활 경험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3) 내용과 형식면에 서 다양성이 축소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ildren’s poems in elementary school “ Korean Language ” and “ Korean Language Activities ”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oems in current textbook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from existing Korean textbooks.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children’s literary environment and serve as a gateway to literary works. Therefore, the works in Korean textbooks must have both educational and artistic qualities. The evaluation of children’s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previous curriculum was not generally positive, but some writers and works have been repeated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have been composed of educational canon. Some of these are also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71 children’s songs and poems in the 2015 revised Korean textbook, these work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tendency to deal mainly with children’s poems, which emphasizes the innocence of children (Dongsim), continues in new textbooks. There is still a tendency to emphasize ‘fun’ centering on onomatopoeia. (2) New Korean textbooks contain a large number of works published after 2010 and tend to highlight the life experiences of children, especially in urban life. (3) Diversity has been reduced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1. 들어가며
2. 교과서 수록 동시의 교육적 의미와 한계
3. 2015 개정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 분석
3.1. 2009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교과서 수록 동시와 작가 정전
3.2. 2015 개정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의 현황
3.3. 2015 개정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의 특성
4. 맺으며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