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기질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mperament Rating Scales for Young Korean Children
- 이현숙(Hyunsuk Lee) 장문영(Moonyoung Jang) 박혜원(Hyewon Park)
- 인지발달중재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제10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67 - 92 (26 pages)
본 연구에서는 기질의 개인차와 발달적 안정성 및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로서 한국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유아기를 망라하는 6~71개월용 기질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기질척도들을 종합하고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항을 개발하여 U시에서 6-71개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한 뒤, 온라인을 통해 전국적으로 700명(영아 200명, 걸음마기유아 200명, 유아 30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질척도는 영유아의 빠른 발달변화를 고려해 영아용(6~17개월), 걸음마기유아용(18~35개월), 유아용(36~71개월)으로 구분하고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6개의 가설적 하위요인(활동성, 적응성, 정서성, 주의통제, 지각민감성, 규칙성)으로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령집단별 기질척도의 최종문항(영아: 27문항, 걸음마기유아: 27문항, 유아: 29문항)을 선정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기존 기질척도(EAS)와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척도와의 공인타당도분석 및 본 기질척도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emperament rating scales for young Korean children to analyze their developmental stability of tempera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emperament scale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300 mothers having children aged between 6–71 months. A nationwide main study was performed on 70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three age groups: Infants (6–17 months), toddlers (18–35 months), and young children (36–71 month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six sub-factors: activity, adaptability, affection, attention control, perceptual sensitivity, and regularity. Through expert reviews on factor analysis results, final items were selected: 27 items each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29 items for young childre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s well as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construct validities of the scales; internal reliabilities were also satisfactor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more evidence for concurrent validities and scale utilities.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