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자녀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자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emperaments,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Problem Behaviors in Adolescence: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 400
본 연구는 자녀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 및 비지지적 반응이 중학생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의 기질은 내재화 문제행동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사회적 민감성 기질의 직접효과가 나타났고,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자극추구 기질과 인내력 기질의 직접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내재화 문제행동에서는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있어서는 비지지적 반응의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설명함에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는 기질과 어머니 반응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할 때, 중학생의 문제행동은 타고난 선천적인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적 양육행동에 의해 영향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녀의 기질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문제행동에 취약한 기질을 지니고 있거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부적절하더라도 중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유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ne’s temperaments and mother’s supportive/non-supportive reactions have effects on the internalization/externalization of problems related to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It also assesse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relation to one’s temperaments and mother’s supportive/non-supportive reactions that impact children’s negative emotions. First,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was significantly demonstrated in adolescents with high Harm Avoidance and low Reward Dependence, and the externalization of problems was strongly predicted in those with high Novelty Seeking and low Persistence. Second, it was observed that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ve direct effects on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 behaviors, whereas non-supportive reactions affect the externalization of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seemed to impact early adolescents’ behavior, whether with the externalization or internalization of problems, both in terms of one’s temperaments and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 behaviors can be impacted by one’s temperaments and his/her mother’s emotional parenting attitudes. Furthermore, the research implies that the mediation effect on emotional clarity is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efforts to increase emotional clarity may have meaningful impact on middle school students even if their temperaments make them vulnerable to problem behaviors or their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re not appropriate.
서 론
연구 방법
결 과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