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85.jpg
SCOPUS 학술저널

ARCS기반 국악창작수업자료 개발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Korean Music Creation Class

DOI : 10.30775/KMES.48.4.01
  • 737

본 연구의 목적은 켈러(Keller)의 학습동기이론에 기초를 둔 ARCS모델을 기반으로 한 국악창작수업자료를 개발하고, 개발한 수업자료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교수자의 수업 자신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ADDIE모형을 통해 국악창작수업자료를 개발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총 4차시에 걸쳐 창작수업자료를 활용한 수업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흥미도 확인을 위해 Keller(1997)의 CIS(Course Interest Survey)를 활용하였고 교사의 자신감을 확인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개방형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검사결과 개발된 국악창작수업자료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이 높았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창작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 역시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ve class based on ARCS model in Keller s theory of learning motiv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on the learners motivation and the instructor s self-confidence.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material developed through the ADDIE model, the four classes were held for a total of 95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 Keller(1987)’s CIS(Course Interest Survey) was used to confirm learner’s interest level, and a open-end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firm teacher’s confidence. As s result, the developed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class material increased the students attention, instructi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the lessons of the learners. In addition, the material increased the teacher’s confidence in the class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악창작수업자료 개발

Ⅳ. 연구 방법 및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