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 음악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민요 기보와 수록내용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Korean Folk Song(yugjabaegi-tori) Notation and Contents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 김혜정(Hey Jung Kim)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9.11
- 147 - 160 (14 pages)
본고는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수록 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육자배기토리는 ‘미라도-도시라미’의 음계이며, ‘종지음’, ‘꺾는 음’, ‘떠는 음’ 정보를 기보해주어야 한다. 둘째, 육자배기토리의 주요 구성음은 ‘미라도’의 3음으로 소개되어야 한다. 셋째, 꺾는 음의 표기는 ‘도-시’를 모두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넷째, 떠는 음 표기는 앞에 ‘C’형을 붙이지 말고 고르게 떠는 형태로 그려주어야 한다. 다섯째, 시김새 설명은 떨어서 내는 음, 꺾어 내리는 음과 같이 직관적인 설명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n music in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it.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yugjabaegi-tori is the scale of Mi-La-do--do-Si-Ra-Mi , and information related to cadence and expression should be written. Yugjabaegi-tori is plagal modes. So the song always ends with la. Second, the skeletal sound of the yugjabaegi-tori is ‘Mi’, ‘Ra’, ‘do’. Third, this scale must represent both ‘do’ and ‘Si’. Fourth, the floating sound should be drawn in the form of floating evenly. Fifth, an intuitive explanation is sufficient for the explanation of musical expressions.
Ⅰ. 서론
Ⅱ. 육자배기토리의 음계와 주요 구성음
Ⅲ. 초등 음악 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와 시김새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