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융합분야 표준교육 대학원 교과과정 개발과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융합기술시스템공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Curriculum Development for Graduate Program of Standards Education for Converging Technology: Graduate Program of Converging Technology Systems and Standardization in Korea University

  • 185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지원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글로벌 기술표준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 고려대학교 융합기술시스템 공학 프로그램이 융복합 표준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과정을 검토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에 따라 등장하고 있는 신산업은 기술융합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선도하는 것이 국가산업경쟁력 확보에 중요하고, 따라서 국제표준화 전문인력 양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오랫동안 공학자의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던 표준이 기업의 경쟁력확보의 도구로서 인식이 되면서 표준분야의 전문가는 융합기술인 공학적인 요소와 더불어 경영학적 전문성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표준융합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공학과목의 기본적 소양과 더불어 경영학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표준전문가로서 필요한 표준화 기반지식과 융합활용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캡스톤디자인과 산학프로젝트 과정은 학생의 종합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실무적 지식함양을 위하여 한국표준협회가 제공하는 단기강좌는 강의환경을 다양성을 조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합과정으로서 다양한 학부전공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표준전문가로서의 역량배양을 위한 기본지식을 제공하는 부트 캠프(boot camp)의 설치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reviews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nverging technology systems and standardization of Korea university, which is supported by KATS(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and managed by KSA(Korea Standards Association). This program aims to produce standards professionals in the area of converging technology.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merging, new industries are utilizing converging technologies. It is recognized that the leadership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merging new industries. To do so, cultivation of standards professional is necessary. Standardization activities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a work of engineers. However, it is emphasized that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could be utilized as a strategic weapon of business. So standards professionals required to have competence regarding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management. The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Korea university try to satisfy those recent requirement for standards professionals. And also, capstone design course and university-industry project course contribute to promote the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competence of students. KSA also provide extra curriculum for the students to tackle practical problems in the standardization activities. Even though those curricula seems to provide diverse courses for students, it seems necessary to provide boot camp as a primer course for students with little or no background in the related engineering and/or management.

Ⅰ. 연구의 목표

Ⅱ. 융합분야 교육과정의 특성

Ⅲ. 융합표준교육의 특성

Ⅳ. 융합분야 표준교육 교과과정

Ⅴ. 개선방안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