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주의적 교육이론의 대표적인 주창자 존 듀이는 전통적 교육에서 발생하는 ‘앎과 삶의 분리’ 문제를 비판하였다. 듀이가 보기에 이 문제의 원인은 전통적 교육이 인간의 삶과 동떨어져 있는 ‘외적 목적’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는 것에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듀이는 인간 활동의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내적목적’을 바람직한 교육목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마이클 오우크쇼트의 이론에 비추어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오우크쇼트의 이론에 기대어 삶을 총체적 관점에서 온전하게 파악한다면 실용주의적 교육관의 한계가 드러나게 된다. 오우크쇼트는 인간의 활동을 이미지 만들기 방식에 따라 실제적 활동, 과학적 활동, 시적 활동 등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각각의 활동이 인간 삶의 상이한 측면을 보여주는 고유한 양상들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반면 듀이는 인간의 모든 활동을 오직 실제적 활동으로 환원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이 한계로 인해 그는 전통적 교육에서의 앎과 삶을 분리된 것으로 잘못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듀이의 한계가 밝혀짐과 동시에 전통적 교육을 향한 오해는 해소될 수 있다. 이제 전통적 교육에서의 ‘앎과 삶의 분리’ 문제는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문제의 적극적인 해결은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을 통해 가능하다. 전통적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관조적 삶의 태도’의 함양에 있다. 관조적 삶의 태도는 끊임없이 목적을 설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강구하는 ‘도구적 태도’에서 벗어나 ‘이미지 만들기 활동’ 그 자체를 향유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태도를 통해 학생들은 끝없는 지적 모험으로서의 인류의 ‘대화’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전통적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삶과 무관한 ‘외적 목적’이 아닌, 삶 그 자체를 충만하게 살아가기 위해 활동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내재적 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때의 내재적 목적은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에 비추어 역동적 의미가 더해진 생생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Dewey believes that the cause of this problem is that the aim of traditional education is the ‘external aim’ which is separated from human life. As an alternative to this, Dewey suggests the ‘internal aim’ as a desirable educational aim which arises from the inside of human activities. However, these claims need to be reviewed in light of Michael Oakeshott s theories. If we grasp ‘life’ from a total perspective leaning on his theory, the limitation of pragmatic education will be revealed. He classifies human activities by actual activity, scientific activity, and poetic activity according to the way we make images and reveals that each activity is a unique mode showing one aspect of human life. Dewey, on the other hand, has limitation in that he attempts to reduce all human activities to only ‘actual activity’. Now,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knowing and life’ in traditional education can be reinterpreted in other ways. And the aggressive solution to the problem is possible through Oakeshott s concept of “conversation”. The real aim of traditional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contemplative attitude of life. The contemplative attitude of life is an attitude that enjoys the ‘image making activity’ itself escaping from ‘instrumental attitude’ which is constantly setting the purpose and taking the mean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attitude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as an endless intellectual adventure. Now, the aim of traditional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trinsic aim’ that emphasizes the intrinsic value of the activity in order to fully live the life itself, not the ‘external aim’. The intrinsic aim at this time can be understood as a dynamic concept in the light of Oakeshott s concept of “conversation”.
Ⅰ. 서 론
Ⅱ. 듀이의 전통적 교육 비판과 그 대안
Ⅲ. 오우크쇼트의 활동이론과 관조
Ⅵ. 논의 및 결론: 전통적 교육의 재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