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심리적 욕구와 주관적 안녕감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in Relation to Their Subjective Well-being

  • 34

심리적 욕구는 사람들이 표현하는 행동의 이면을 설명하는 개념이고,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심리적 욕구의 충족은 주관적 안녕감과 최적 기능의 증진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해 수행되었다. 첫째, Sheldon, Elliot, Kim, Kasser(2001)의 개념정의와 연구절차를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지난 한달 동안에 가장 만족스러운 사건을 경험할 때 충족되었다고 느끼는 10가지 심리적 욕구의 현저성과 자신에게 가치 있고 중요하다고 여기는 심리적 욕구의 선호 순위를 조사하여 15년 간 대학생의 심리적 욕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심리적 욕구 현저성과 선호 순위가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심리적 욕구의 현저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소재 국립대학교 학부생 287명(남학생 138명, 여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과 2016년 두 표집에서 욕구 현저성이 높은 심리적 욕구는 관계성, 자율성, 유능성, 즐거움-자극 추구 욕구로 확인되었고, 2001년 표집에서 자기존중 욕구가, 2016년 표집에서 자기실현-의미 욕구가 추가되었다. 둘째, 심리적 욕구의 현저성에 있어 유일한 성차는 유능성 욕구에서 나타났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유능성 욕구 현저성이 높았다. 또한 심리적 욕구의 선호 1순위는 남녀 두 집단에서 자기실현-의미 욕구이지만, 선호 2순위는 남자 집단에서 자율성 욕구이고 여학생 집단에서 관계성 욕구로 밝혀졌다. 셋째, 중다회귀분석의 결과, 자기실현-의미, 관계성, 안전, 신체건강 욕구의 현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Psychological needs are considered as the underlying concept that explains why people behave. Furthermore, basic, essential psychological needs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optimal functioning. As a replication of Sheldon, Elliot, Kim, and Kasser’s study (2001), this study compared 10 psychological needs in an attempt to determine which are most fundamental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wo-hundred eighty-seven college students (138 males, 149 females) completed a paper-pencil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ference and salience of 10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repor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high positive affect, low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indicated their preferences within every possible pairs of psychological needs, described ‘most satisfying events’ during the past month, and then rated the salience of each of the 10 needs within these events. Data analys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rom both the 2001 sample and the 2016 sample relatedness, autonomy, competence, and pleasure-stimulation were among the top 5 needs in terms of need salience. Self-esteem was also among the top 5 needs in the 2001 sample whereas self-actualization-meaning was among the top 5 needs in the 2016 sample. Second, salience scores of competence need were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however, gender differences in those of remaining needs were not found significant. In addition, the preference of self-actualization-meaning need ranked first in both genders; then, autonomy need ranked second in males but relatedness need ranked second in females. Third, self-actualization-meaning, relatedness, security, and physical thriving need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