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연극과 연극치료의 협업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collaboration of theater therapy and theater

  • 291
149919.jpg

연극치료의 주요 매체는 연극이므로 연극을 잘 이해한다면 연극치료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연극치료사가 되기 위해서는 연극을 전공할 필요는 없으나 연극과 자주 접하고 연극의 이론과 실제의 메커니즘을 알아야 한다. 이처럼 연극과 연극치료는 태생과 성격 상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두 영역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의 연극치료 현황을 살펴보고, 연극학계에서 연극치료의 관심 정도를 살펴본 다음, 연극인 15명과 연극치료사 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호 협업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연극인들은 연극치료에 상당한 관심을 표명하였고 앞으로 더욱 긴밀한 협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연극치료사 역시 연극계와 깊이 있는 관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은 다 같이 연극과 연극치료의 상호 협업이 상생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 이들 영역은 학제간의 교류,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한 상태이며 실제적인 협업 또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설문의 결과가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현재 연극인들은 머리로는 연극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몸으로는 크게 관심이 없는 것이다. 진정으로 연극과 연극치료가 협업할 수 있기 위해서는 한국연극의 정책, 방향, 성격, 질적 수준을 결정짓는 연극인들의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글은 연극인과 연극치료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 점검을 통해 연극과 연극치료의 협업 가능성을 타진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차후에 더욱 진전된 과정과 시스템을 통할 때 연극계와 연극치료계가 더욱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The main medium of theatrical therapy is theater, so we can understand theater therapy better when we understand theater. To be a theater therapist, we don t need to major in theater, but we need to be familiar with the theory and practical mechanism of the theater by frequent contacts with the theater. Although theater and theater therapy are closely related in nature, there is a substantial gap between the two realistically.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theater therapy in Korea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ater therapy in theatrical circles, and a survey of 15 theater experts and 18 theater therapis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mutual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ater experts express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ater therapy, emphasized the need for closer collaboration in the future, and the theater therapist also responded that there was a need for a deeper relationship with the theater community. They recognized that mutual collaboration between theater and theater therapy was very important. However, the two areas have not been actively studied for interdisciplinary and on-site use, and there has been no actual cooperation.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eater experts feel the need for theater therapy in their heads but not much of an interest in their bodies. In order for theater and theater therapy to truly work together, it needs to be reconsidered by theater experts who determine the policy, direc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korean theater.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theater and theater therapy through the study of the awareness of theater experts and theater therapist.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we are going to study what processes and systems will allow the theater and theater therapy to communicate more closely and co-exist.

I. 들어가며

II. 한국에서 연극치료 현황

III. 연극과 연극치료의 협업 가능성 타진

VI. 나오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