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의 감정인식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 연구로 어떻게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발달장애 특수대학인 호산나 대학에서 일 년 간 진행한 연극치료 수업을 바탕으로 2명의 참여자가 어떻게 감정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작업은 3개의 이야기 - 투명아이, 업, 오즈의 마법사-를 소재로 투사와 역할 중심의 즉흥극으로 이루어졌다. 진단평가로는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3가지 진단평가도구 – 감정인식변화도, 외적 변화도, EPR을 활용한 진단평가도구 - 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분리해서 느낄 수 있게 되었고, 주체적으로 감정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이야기 속 역할들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즉, 다양한 역할을 경험함으로써 감정을 구별할 수 있었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분리해서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슬픔과 두려움의 감정 순화 경험이 참여자의 감정인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이야기를 통해 참여자의 미해결문제, 억압, 소망 등을 안전하게 직면할 수 있었다. 이는 자연스럽게 참여자의 욕구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셋째, 이야기 활용 연극치료를 통해 자신의 주 감정, 주 욕구 등을 찾아냄으로써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합하는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고, 미래를 살아가는 힘을 구축하도록 도울 수 있었다. 넷째, 이 작업 결과 참여자의 자발성이 강화되었고, 음성 틱의 감소 등과 같은 문제 행동 패턴의 교정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t is effective to use the story as a study of drama therapy programs for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looked at how two participants experienced changes in emotional recognition based on a year-long drama therapy class at Hosanna University, a special universit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work consisted of a projection and role-oriented improvisation featuring three stories - Invisible children, Up and The Wizard of Oz. Three diagnostic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ere used as diagnostic assessment tools – the chart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variation, the chart of the external change, and diagnostic evaluation tools using EPR. Studies have shown that participants can feel their emotions separately and initiatively. First, they could experience various emotions through the roles in the story. In other words, by experiencing various roles, they could distinguish their emotions, and feel them separately.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purifying emotions of sadness and fear was effective in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participants. Second, through the story, they were able to face unresolved issues, oppression, and wishes safely. This naturally led to the discovery of their needs. Third, by finding their main emotions, main desires, etc. through story-using drama therapy, the participants could help create their own story that integrat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build up the power to live in the future. Fourth, as a result of this work, the spontaneity of participants was strengthened, and correction of problem behavior patterns such as reduction of voice tics was made.
Ⅰ. 서론
Ⅱ. 본론
1. 감정인식과 연극치료
2. 진단평가도구 개발
Ⅲ. 감정인식 연극치료 사례
1. 연극치료 진행 구조
2. 참여자 감정인식 변화 및 진단평가
2-1. 감정인식의 변화
2-2. 외적 변화
2-3. EPR의 변화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