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938.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증진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the Research Trends of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 219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인지증진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논문 146편을 대상으로 연구자료기본구조(발표년도, 연구분야, 연구방법, 실험군크기), 프로그램시행구조(성별, 인지기능상태, 총 진행횟수, 주당진행횟수), 중재프로그램 및 효과(중재프로그램 형태, 종류, 측정도구,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논문은 1998년에 시작하여 20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급증하였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분야는 간호학, 체육학, 심리과학, 학제간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은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성별은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중재프로그램은 대부분 단일프로그램으로 신체활동프로그램은 1998년부터 꾸준히 연구되었고, 인지구조화프로그램은 2005년도 첫 연구 이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다. 넷째, 인지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구는 일반노인 대상 경우와 주 1회를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프로그램으로는 인지구조화프로그램을 시행한 연구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대상인지증진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의 동향을 폭넓게 살펴보면서,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노년기 주호소문제인 인지기능저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The basic structure of research data(annual presentation year, research field,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design, experimental group size), program implementation structure(gender as a study target, cognitive function status and implementation environment), intervention program and effects(type of intervention program, measurement tool, program effect) 146 research papers belonging to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early research papers started in 1998 and increased rapidly from the late 2000s, and the areas in which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were nursing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cond, the study subjects were elderly, and most . Third, most intervention programs were single program, physical activity program studied steadily 1998 and cognitive structuring program increasing after the research in 2005. Fourth,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in case of general elderly subjects and of once a week. In intervention program, it was that cognitive structuring program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were effective at the same rat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on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cognitive dysfunction, which is the main the elderl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