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독일 학교 외국어교육의 제도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분석 – 헤센(Hessen)주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institutional features and policy implications of school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Hessen, Germany for the Korean foreign language policy

  • 272
150043.jpg

본 논문은 독일 헤센 주를 중심으로 독일의 학교 외국어교육이 지닌 구조와 특성 및 정책적 함의를 분석한 후, 한국 외국어교육에 유익하게 활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독일의 외국어교육은 다양한 외국어 선택기회를 부여하는 점, 언어교육과 역량교육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점 등이 주요 특징을 이룬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어교육 정책의 차원을 언어위상 정책과 언어내적 정책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대상은 외국어교육의 법적 근거, 학교유형별 교과 편성, 외국어교육의 내적 특성(목표설정, 역량기반, 성취기준, 주제영역) 등이다. 그리고 한국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으로 다언어주의, 잘 구조화된 역량교육, 역량에 따른 성취기준 제시, 교육과정 이념 개발 등을 다룬다.

This research aims to draw on suggestion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policy implication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in Hessen, Germany. The analysis will take place on two policy levels: status planning and corpus planning. The legal ba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class credit management by school forms,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e.g. competence-based learning) will be closely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mplicationsI will be discussed for Korean foreign language education such as multi-lingualism, structured competency education and dualiz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Ⅰ. 들어가는 말

Ⅱ. 독일 학교의 외국어교과 위상

1. 독일 학제의 기본구조

2. 외국어교과의 운영 방향

3. 학교급 별 외국어교과의 특성

Ⅲ. 외국어교과 교육과정의 내적 체계

1. 외국어교과의 교육과정 구성

2. 핵심교육과정

3. 영어 교수과정안

Ⅳ. 한국 외국어교육에의 시사점

1. 다언어주의

2. 역량기반 외국어교육

3. 성취기준과 역량영역의 연계

4.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의 연계

5. 외국어교과 별 교육이념 개발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