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주택 내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Safety-Related Accidents in Elderly People’s Houses: A Case in Jeollabouk-do Province

  • 113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주택 내에서 경험하는 안전사고의 빈도와 사고 유형, 사고 장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개조 및 보수에 관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노인의 주택 내 안전사고 빈도와 유형, 주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개조 및 보수해야 할 주택 구조와 시설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 대상자 234명 중 최근 1년간 안전사고를 경험한 사람은 총 87명(37.2%), 중복 경험을 포함하여 총 129회의 안전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중 사고 유형은 미끄러짐에 의한 손상이 60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장소는 욕실이 41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미끄럼 방지 바닥, 안전 손잡이, 적절한 조명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실제 노인이 경험한 주택 내 안전사고의 실태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주택 개선 및 보수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제시하였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인 주택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택 개발 및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elderly people’s home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type, and place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housing renovations and repairs that can address these problems. Methods : Regarding the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houses and the frequency and types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occur in the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ich hous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need to be renovated and repaired for the prevention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 Among the 234researchsubjects, 87 (37.2%) had experienced a safety-related accident during the past year in their homes. The survey allowed for multiple responses from the same respondent, which resulted in the reporting of 129 accidents. Injury by slipping was the most frequent accident type (60 cases), and the bathroom was the most frequent place for accidents (41 cases). It was determined that, for the prevention of safety-related accidents, the installation of non-slip flooring, safety door knobs, and appropriate lighting were needed. Conclusion : This study examined safety-related accidents that elderly people experience at home and suggested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home improvement measures and renova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planning houses with features that prevent elderly people’s in-home accid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