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키오스크(KIOSK) 사용능력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KIOSK Usage Ability of the Elderly
- 성윤정(Sung, Yoon-Jeong) 이원우(Lee, Won-Woo) 서가현(Seo, Ga-Hyeon) 임진서(Lim, Jin-Seo) 전성원(Jeon, Seong-Won) 양영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1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135 - 142 (8 pages)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키오스크 사용능력을 알아보고, 노년층의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키오스크 사용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J복지관을 이용 중인 만 65세 이상의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인지기능평가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CERAD-K를 사용하였고, 키오스크 사용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키오스크의 대체앱인 맥딜리버리 앱을 사용하여 수행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CERAD-K의 9가지 항목 중 언어지연회상항목과 삽화기억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키오스크 사용능력이 높았다. 또한, 간이 정신상태 검사 항목에서 요구되는 종합인지능력과, 지남력, 집중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키오스크 사용능력이 높았다. 결론 : 인지기능의 여러 영역 중에서 종합인지능력, 지남력, 집중력, 언어적 지연 회상 능력, 삽화기억능력이 만 65세 이상 노인의 키오스크 사용 능력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kiosk skills of elderly and to help the participate in society smoothl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ho are currently attend at J Welfare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CERAD-K was us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s and McDelivery application was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Kiosk usage. The SPSS ver. 25.0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Results : Those who have higher ability to recall and semantic memory skills performs better in usage of kioks. Also, for those with higher comprehensive cognitive skills such as orientation and attention performs better in usage of kioks. Conclusion : The comprehensive cognitive function such as orientation and attention, ability to recall, and sementic memory skills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kiosk usage of elderl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