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054.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와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derstanding of Education Curriculum and Recognition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366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실태와 지원 요구 사항을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지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초등특수가 유아특수와 중등특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경력이 낮을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준비 시간 부족, 방법론적 지식과 경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과정 이해도와 재구성 실천 간,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과 재구성 실천 간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위해서는 예시 자료 보급, 실제적인 연수, 업무 경감 등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와 함께 교사 멘토링, 실습 중심의 연수, 재구성 사례 공유 등 지원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고,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재구성 매뉴얼 개발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upport needs for specia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fan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Jeonnam. Result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higher than medium.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n infant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lthou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he shorter their careers were, the mor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finding effective methods. Third,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were lack of preparation time and lack of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reconstruction. Lastly, in order to practic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required to disseminate reconstruction example materials,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and to reduce workloa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support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s, such as raising awarenes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mentoring of experienced teachers and low-career teachers, hands-on training and sharing reconstruction case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teacher s curriculum expertise and the development of reconstruction manual.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