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5.jpg
학술저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5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분석 -인종, 성, 다문화 요소를 중심으로-

Cultural Analysis of 5th-grad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cused on race, gender, multi-cultural elements-

  • 155

오늘날 영어가 빠르게 세계어로 확정되어 감에 따라 여러 다양한 나라의 문화에 대한 학습은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시대적 요구는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의 성격에 기반 한 영어과 핵심역량 즉, ‘영어의사소통 역량’, ‘자기관리 역량’, ‘공동체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등의 4가지 역량 중 ‘공동체 역량’에 잘 나타나 있다. 이는 배려와 나눔, 관용, 문화정체성, 언어 및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포용능력을 포함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역시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지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5학년 영어 교과서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문화 지도 목표를 어느 정도 이해하여 반영하고 있는지 3종의 5학년 영어 교과서를 선택하여 인종, 성, 다문화적 관련 요소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r elementary schools i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key components: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self-managing competence, community competence, and knowledge-information competence. Among them,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community competence, and the 2015 National English Revision to th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re considered the necessity of English cultural instruction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s to accelerate the effective learning between the students’ culture and those of the target language.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content of the culture in 5th grade English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compare the strengths and features of 3 textbooks recently approved. The criteria for the culture content of English textbooks have been specified as 3 components and all the three books published in 2015 were analyzed and examined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race, gender, and multi-cultural eleme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