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5.jpg
학술저널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일반 및 개인적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항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69

영유아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영유아 보육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영유아 교사의 자기 효능감은 영유아 보육에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의 유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5문항, 정서지능 35문항, 교사효능감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사고촉진 요인은 일반적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지능의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활용, 정서조절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과 정서조절 요인만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arly childhood teacher s efficacy has a great impact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are. As such, the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early childhood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Likert scale with 5 stages including 5 question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5 quest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25 questions of teacher efficacy. Th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First, when we look at the lower factors of the teacher s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verage score of the individual teacher s efficacy factor was the highest, and the individual teacher s efficacy was all above average. Second, it was Second, it show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 general teacher efficacy had a low level of correl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er s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