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5.jpg
학술저널

다문화 여성의 양육적응 증진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과 평가 -양육 동안 알아야 하는 기본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Materials to Promot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Women to Rearing -Focusing on the Basic Key Concepts during Parenting-

  • 5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여성과 그 가족이 양육 동안 알아야 하는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아기 양육증진을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교육자료의 내용 구성 단계로, 보건소 보건요원과 다문화 통역요원을 중심으로 요구도 조사,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그룹의 토의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핵심개념은 7개였으며, Roy의 Adaptation Model을 개념적 틀로 하였다. 두 번째는 자료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로, 첫 번째 단계에 참여하지 않은 전문가들과 다문화 여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단계는 일차 구성된 양육적응 증진을 위한 교육자료의 평가단계로 한국어에 능통한 다문화 여성 76명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결과는 평균, 3.48점(4점 Likert 척도)으로 높게 나타나 교육자료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기 양육적응 증진 교육자료는 우리 사회에서 아기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여성과 가족은 물론 다문화 여성의 양육을 지도하는 간호사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evaluate education materials to promote health and adaptation to child rearing for immigrant women in Korea. Method: This study had three procedures: First, contents of the educ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immigrant women’s needs, literature reviews, and group discussions of experts, health workers and multicultural interpreters. Details in contents were constructed based on Roy’s adaptation model; Second, validity verification was accomplished; Thirds, evaluation of the education materials was done through a survey of immigrants women. Results: The education materials for child rearing that include 7-key concepts were developed. In the evaluation, the average response score for the questionnaire items was high(3.48 score on a 4point Likert scale). Conclusion: The developed education materials for immigrant women developed in this research will help community health nurse to educate immigrant women who have difficulty raising babie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