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극복력, 대인관계유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esteem,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 414
150145.jpg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극복력, 대인관계유능성,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B시의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 1일에서 6월 30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t-test, 일원분산분석, 변수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30±.60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극복력, 대인관계유능성,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r=.51, p<.001), 극복력(r=.54, p<.001), 대인관계유능성(r=.57,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유능성, 극복력, 자아존중감, 학년, 지원동기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4.1%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s self-esteem,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increased college life adjustment. This research involved 245 college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18 to June 30.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In results of the study, college life adjustment appeared as 3.30±0.60 point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esteem(r=.51, p<.001),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resilience(r=.54, p<.001),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r=.57,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competence, resilience, self-esteem, grade, and apply motivation,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4.1%. The results of this study require the development to programs to improve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