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보건정보를 통한 치료 향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
Prognosis Factor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Through Health Information in Patients with Prostatic Hyperplasia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12호
- 2019.12
- 697 - 704 (8 pages)
본 연구는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보건정보를 통한 치료 향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를 규명하는데 있다. 자료는 2018년 5월 16부터 6월 28일까지 A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내원한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보건정보 적용여부와 관련된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건강행위는 Chi-square test를 수행하였다. 전립선비대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류는 주 1회 이하가 정보비적용군이 26.1%로 정보적용군이 67.4%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X2=3.16, p<.05). 둘째, 운동수행여부에 있어 의료정보 비적용한 군은 26.1%로 의료정보 적용한 군의 63.0%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X2=5.14, p<.01). 셋째, 음주력에 있어 음주를 하는 군이 음주를 하지 않는 군에 비해 전립선 비대증 증상 발생은 교차비가 2.46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2.46, 95% Cl=1.25-9.16).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의료정보를 통해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is factor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through health information in patients with prostatic hyperplasia. Data were surveyed using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by 92 patients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which was located in A region from May 16 to June 28,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ealth behaviors of patients with prostatic hyperplasia related to health information application were performed for the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ffecting the incidence of prostatic hyperplasia.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on the statu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of exercise performance, 26.1% of the group who do not apply medical information to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63.0% of the group that applies the information(X2=5.14, p<.01). Secondly, the number of cases of prostatic hyperplasia is 2.46 times higher among drinkers than those who do not drink alcohol in drinking(OR=2.46, 95% Cl=1.25-9.16). Based on this research, I think medical information can help alleviate symptoms of prostatic hyperplasia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