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의 생활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iddle・High School Parent s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on Child s Life Competency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28권 제4호
- : KCI등재
- 2016.12
- 123 - 137 (1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인지하는 자녀생활역량을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생활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가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3년 4월 기준, 대전광역시 소재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협조공문을 보내, 설문지를 이메일로 전달하였고, 2013년 12월 10일부터 20일 사이 회수된 설문지 중,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총 8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및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고, 변인들의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모형분석과 경로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생활역량 및 관련 변인들의 높은 상관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경로모형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생활역량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학부모효능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나, 부모교육참여에 따라 자녀생활역량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생활 역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정교육학계에서의 정책적 대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s aim is to examine child s life competency that middle・high school parents perceive and study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parent education participation on child s life competency. The study was conducted towards parent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Dae-jeon. Official cooperation documents were sent to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Dae-jeon in April, 2013. Surveys were sent by e-mail and a total of 800 replie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data) collected throughout December 10th to 20th, 2013 were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ubject 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centage were analyze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variant s relation. Path model analysis was used to study variant s path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path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significance. The study s results showed that child life competency and related variants had a high correlation and path model analysi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had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child s life competency. Parenting stress has influence on parent efficacy and depression, but parent education has a different influence on child s life effica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are made throughout family academic perspectives in order to enhance child s life competency.
Ⅰ. 서론
Ⅱ. 관련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