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45.jpg
학술저널

사별 여성노인의 건강한 삶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fluencing Factors on Bereaved Elderly Women’s Healthy Life

  • 65

본 연구는 사별 여성노인의 건강한 삶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종단적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KLoSA 4차년도 패널7,486명 중 연구대상인 사별 여성노인 860명에 대해 사회적 계층의식, 경제상태, 자녀관계, 건강한 삶 변인을 선정, SPSS, AMOS를 사용해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무조건부모형의 분석 결과, 사별 여성노인의 건강한 삶에 대한 만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했으며, 초기 수준과 변화 과정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조건부모형의 분석에서 건강한 삶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초기치를 예측변수로 투입한 결과, 사별 여성노인의 사회적 계층의식이 높고 경제상태, 자녀관계가 좋을수록 건강한 삶의 만족감은 높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강한 삶의 만족에 대한 증가 폭의 변화율은 감소하였다. 이에 지역사회의 복지 및 의료기관, 종교 및 시민단체,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는 상호적인 커뮤니티 망 구축을 강화하여 사회적 계층의식의 긍정적인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과 경제상태, 자녀관계 만족 향상을 위한 지원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fluencing factors on bereaved elderly women’s healthy life. A total of 860 bereaved elderly women among 7,486 panel members for the KLoSA of the fourth year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 the subjects, variables including social class consciousness, economic statu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healthy life were determined, an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As a result of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satisfaction on healthy life of bereaved elderly women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and showed a difference between its initial level and variations. In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when the initial values of healthy life predictor variables were added to predictor variabl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eater the social class consciousness, economic statu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n healthy life, and that the variation rate of the increase in satisfaction on healthy life decreased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regional welfare and medical institutions, religious and civic organizations, and colleg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trengthen the establishment of a mutual community cooperation and then expand the support service for the enhancement of satisfaction on education programs, economic statu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that are necessary for the positive change of social class consciousness of bereaved elderly wome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