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usic Psychotherapy Program to Improve Sociability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656
150221.jp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천성문 등(2017)의 상담 프로그램 연구모형에 따라 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총 12회기로 구성된 최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B시에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라 비교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기표현, 사회적 기술, 또래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사회적 기술, 또래관계에 대하여 사회성 향상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사회적 기술에 대한 합창위주의 치료적 음악활동인 비교집단과 무처치 통제집단에 비해 척도별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인 회기별 경험보고서로 변화양상을 분석한 결과 자기표현, 사회적 기술 부분이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참여 후 통합학급 일반친구의 또래관계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and assessed the effects of a music psychotherapy program to improve sociability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12-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Cheon Seong Moon et al., 2017) based on input from theoretical and field exper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with 30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music psychotherapy), comparison (choir-bas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or control (no treatment) group. Data was collected at pre- and post-intervention to assess self-expression,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significant increases in sociability in primary and sub-domains as compared to the comparison and control groups. Additionally, change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a session-by-session experience report, a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interview data. Participants reported that self-expression, social skills and positive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within and outside of the program improved after participation.

방법

결과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