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 정서조절곤란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B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보고식 설문지 205부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성인애착의 두 차원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이성관계 만족도와 부적상관을, 정서조절곤란과 이성관계 만족도 또한 부적상관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정서조절곤란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회피와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회피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조절곤란을 통하여 이성관계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개인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여 표현함에 있어 어려움을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이성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정서조절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e survey was completed by a total of 205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voidance)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dysregulation but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not mediated by emotional dysreg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was suggested.
방법
결과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