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를 가진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of Preschoolers’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 김은영(Kim, Eunyoung) 강지현(Kang, Ji Hyeon) 김명섭(Kim, Myung-Seop)
- 한국재활심리학회
- 재활심리연구
- 제26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3
- 123 - 136 (14 pages)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가진 어머니의 성인 애착 유형인 애착 회피와 애착 불안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때 이를 어머니의 정신화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유아 교육 및 보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183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어머니의 성인 애착, 정신화, 양육효능감을 측정하였다.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 Hayse의 매개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착 회피와 애착 불안 성향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정신화 능력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성인 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신화의 매개 효과는 애착 불안 경로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을 증진 시키기 위한 책략으로 어머니들의 성인 애착과 정신화를 고려하고 이를 활용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그 외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others’ adult attachment on parenting 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mentalization. Participants were 183 mothers of young children (3 to 6-year-olds)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the capital area.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Mothers’ adult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The proposed pathway of influence among attachment avoidance, mentalization, and parenting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Mothers’ mentaliza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mothers’ attachment anxiety on parenting efficac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방법
결과
논의